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사지침11

의원/병원 /종합병원 기준 알아보기 의원알아보기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진료한다. 의원,치과의원, 한의원. 30개 미만에 병상은 의원급이다. 병원 기준알아보기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주로 입원환자를 진료한다. 병원,치과병원,한방병원 ,요양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병원ㆍ한방병원만 해당한다) 요양병원은 장기입원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기 위하여 설치한 병상이 있어야한다. 종합병원알아보기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인 경우에는 내과ㆍ외과ㆍ소아청소년과ㆍ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와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 300병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 2021. 8. 17.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규칙 대상 / 근무복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의 적용 대상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 제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병상(의료법상 허가병상을(일반병상) 의미)이 있는 의료기관은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을 준용 의료세탁물 기준 근무복 입원실,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임상검사실, 방사선실, 물리치료실, 회복실, 병리해부실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서 진료, 간호, 검체채취, 재활, 환자이송 등을 직접 수행하는 종사자가 착용하는 근무복 적출물처리시설, 세탁물처리시설, 소독시설 등에서 근무하는 종사자가 착용하는 근무복 세탁물 처리방법은? 시설 기준에 맞는 세탁물 처리시설에서 의료기관이 자체 처리 의료기관세탁물 처리업자에게 위탁 처리 교육방법은? 의료기관세탁물 처리업무 종사자 교육의 방식은 원내 교육이나 관련단체의 주최 교육 등 일정한 방법이.. 2021. 8. 14.
세탁물 기준법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 일부개정령안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호나목 및 다목을 각각 다음과 같이 하고, 같은 호 라목을 삭제한다. 나. 의류:환자복, 신생아복, 근무복(수술복, 가운 등 환자와 접촉하는 의료기관 종사자가 근무 중 착용하는 의류를 말한다) 등 다. 기타 : 수술포, 기계포, 마스크, 모자, 수건, 기저귀, 커텐, 씌우개류, 수거자루 등 제5조 각 호 외의 부분 중 “위탁하여서는 아니”를 “위탁해서는 안”으로 하고, 같은 조 제3호 중 “출혈열[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황열, 뎅기열, 마버그열, 에볼라열 및 라싸열의 경우에 해당한다]”을 “출혈열(에볼라바이러스병, 마버그열, 라싸열,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남아메리카출혈열 및 리프트밸리열의 경우만 해당한.. 2021. 8. 12.
병원 정해져있는 수가 DRG 알아보기 DRG 정해진 금액 수가 알아보기 1. O14(임신중독증) 아래의 혈압과 단백뇨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 아 래 - 가. 혈압: 정상혈압을 갖고 있던 여성에서 임신 20주 이후에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Hg 이상, 6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최소한 2번 이상 증명된 경우 나. 단백뇨: 6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2+이상(또는 100mg/dl이상) 2번 이상 증명된 경우 또는 24시간 요중에 단백질이 300mg 이상 존재가 확인된 경우 2. O15(자간증) O14(임신중독증)의 조건을 충족하면서 임신성 고혈압에 의해 경련 (Convulsion)이 동반된 경우 3. O46(분만 전 출혈) 분만 전에(활발한 진통이 시작되기 전) 출혈이 있어 입원한 경우 또는 입원하여 분만.. 2021. 6. 29.
반응형